━<br /> 대한민국 '트리거 60' ⑤ K원전의 태동 <br /> “자원이 없고 돈도 부족한 우리에게 전기가 필요합니다.”(이승만 대통령) <br /> “우라늄 1g으로 석탄 3t의 에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. 석탄이 땅에서 캐는 에너지라면, 원자력은 사람의 머리에서 캐는 에너지 입니다. 원자력을 개발해야 합니다.”(워커 시슬러) <br /> “무엇부터 해야 합니까.”(이 대통령) <br /> “젊은 기술 인재를 키워야 합니다.”(시슬러) <br /> “원자력 발전은 언제 쯤이나 가능할까요?”(이 대통령) <br /> “지금 인재에 투자하면 20년 후에는 이뤄질겁니다.”(시슬러) <br /> 1956년 경무대에서 이승만 대통령과 시슬러 미국 대통령 에너지 고문이 만나 이런 대화를 나눴다. 2차대전 후 유럽 에너지 복구에 참여했던 시슬러는 서울 당인리 발전소를 지을 때 차관을 주선하는 등 한국과 깊은 인연을 맺었다. 그랬던 그에게 이승만 대통령은 전력 확보 방안을 물었고 시슬러는 원자력을 추천했다. 이 날의 대화는 한국을 오늘날 원전 수출국으로 만드는 첫걸음이 됐다. <br /> <br /> <br /> ━<br /> 원자력 인재 238명 해외 유학 <br /> <br /> 이보다 한 해 앞선 55년, 젊은 과학기술자 10여 명이 자발적으로 원자력을 연구하기 시작했다. 그 중 한 명이었던 이창건(96) 박사는 당시를 이렇게 회고했다. ”미군들과 같이 원자력을 공부하다 제대한 공군 장교 출신 선배들이 있었어요. 이 분들이 교재를 가져오고 전기공학ㆍ물리학 같은 관련 학과 후배들을 모아 문교부(현 교육부) 창고에서 공부를 시작했지. 교재가 한 권 밖에 없어서 내가 타이프를 쳐서 10여 권을 다 만들었어.“ <br /> 그러던 차에 이승만 대통령과 시슬러가 만났다. 56년 81세였던 이 대통령은 ”지금 인력을 키우면 20년 뒤에나 원자력 발전이 될 것“이라는 말에도 주저없이 그 길을 택했다. 우선 시슬러의 권유 대로 인재를 키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349500?cloc=dailymotion</a>